24일부터 예술의전당
고(故) 정비석 선생의 소설 ‘자유부인’은 대중문화사에 한 획을 그은 작품이었다. 1954년 서울신문에 연재된 뒤 단행본으로 발간되자 7만부가 넘게 팔렸다. 베스트셀러의 시초였다. 이후 1990년까지 네 차례나 영화로 만들어지며 이목을 끌었다. 물론 탈도 많았다. 대학교수 부인이 자유를 꿈꾸며 일탈한다는 내용 탓에 ‘여성을 모욕한다.’는 이유로 여성단체들로부터 고발당하기도 했다.
그 자유부인이 현대무용 ‘자유부인 2010’으로 다시 태어난다. 정의숙 성균관대 무용학과 교수가 이끄는 아지드(Arzid) 무용단에 의해서다. 오는 24일부터 이틀간 오후 8시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토월극장에서 펼쳐진다. 원작의 의미를 무용과 영상을 결합해 보여주는 복합장르 공연이다. ‘자유부인 2010’은 원작의 주제 의식과는 선을 긋는다. 1950년대 획기적이라 여겨졌던 ‘자유부인’은 지금의 시각으로 보면 무척 가부장적이다. 작품이 염원했던 전후 민주 가정의 실체는 부부 간의 수평적 관계가 아닌 수직적 관계였다.
이 질서를 무너뜨리지 않아야 안정될 수 있다는 점을 소설은 암암리에 강조한다. 소설 구조도 여주인공이 과감한 일탈을 감행하지만 결국 후회와 반성, 그리고 남편의 용서로 갈등이 봉합되는 형태다. ‘자유부인 2010’은 세월의 궤적이 50년 넘게 흐른 지금, 과연 여성은 정말 자유를 누리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자유를 원하는지 몸짓과 영상으로 되묻는다. 현대의 시각으로 본 자유부인인 셈이다.
영상은 영화 ‘주홍글씨’(2004)로 유명한 변혁 감독이 맡았다. 정 교수와 함께 원작을 토대로 각본 단계부터 협업했다. 변 감독은 아파트를 배경으로 무용수들이 직접 연기를 펼치는 영상을 두달간 따로 촬영했다. 여성주의와 인간의 죄의식에 깊은 통찰력을 발휘했던 변 감독의 감수성을 보는 것도 ‘자유부인 2010’의 별미다. (02)760-0604.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년 11월 19일